집에서 밑반찬 맛을 내는 필수 아이템 기본 양념장 만들기

Posted by How are you doing
2015. 7. 16. 18:15 요리


음식의 제맛을 내는 기본 양념장 5가지



집에서 짬날때 만들어두면 감칠맛 나는 식사준비를 

수월하게 할수있습니다.

양념장을 만들때 미리 넣어야 할 것과

나중에 넣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간장이나 설탕 , 고추장 , 고추가루 , 깨소금 , 식초등은

미리 넣어 만들어도 맛이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파나 마늘 , 풋고추 , 붉은 고추 , 양파 등은 

미리 넣어두면 맛도 변하고 색깔도 변하지요.

그러니까 양념장을 만들 때는 변하지 않는 재료들로

기초 양념장을 만들어 놓고 나머지 양념재료들은

쓸 때마다 조금씩 넣어서 사용하는거 잊지 마세요.


구수한 맛을 낼 때는 된장양념장



재료

기본재료 : 된장 4큰술 , 고추가루 2 작은술 , 간장 1 작은술.

첨가재료 : 다진 파 2큰술 , 다진 마늘 1큰술 , 깨소금 2큰술 ,

참기름 1큰술 , 설탕 약간


만들기


1. 그릇에 된장 , 고추가루 , 간장을 넣고 잘 개어줍니다.

된장의 알맹이가 있어도 좋습니다.

2. 요리를 할 때에 나머지 첨가 재료를 식성에 따라 넣어 줍니다.


된장양념장 쓰임법

열무된장무침, 래디시 완자조림 등에 쓰이지요,

된장 쌈장 등으로 응용할 때는 다시마 국물과 된장을

1:2 비율로 맞춰서 보글보글 끊이면서 파 , 마늘 , 풋고추 , 참기름 , 

깨소금등 첨가 재료를 넣으면 된답니다.


똑 쏘는 매운맛 겨자장



재료

겨자가루 4큰술 , 식초 4큰술 , 물 3큰술 ,

연유 3큰술 , 설탕 1큰술 , 소금 2작은술

 

만들기


1.겨자가루를 미지근한 물에 넣고 잘 개어 줍니다.

2. 잘 갠 겨자가루물에 나머지 재료를 넣고 잘 섞어 줍니다.


겨자장 쓰임법

겨자장은 양장피나 냉채 소스로 많이 쓰여 집니다.

밑반찬보다는 손님 초대 요리나 일품요리에 어울린다고 

할 수있습니다.

하지만 고기 요리를 먹을 때나 깔끔한 맛이 생각날 때

겨자장을 이용한 반찬을 만들어 보세요.

가지생채나 무초절임에 겨자장을 끼얹으면 맛이 아주 상큼해집니다.


 

자르르 윤기나는 일본식 조림간장

데리야끼장



재료

간장 4큰술 , 청주(또는 맛술)1 1/2  큰술 , 설탕 2 큰술 ,물엿 1 큰술


만들기

1.두툼한 팬에 분량의 재료를 넣고 중불에 서서히 조려 줍니다.

2.  1의 분량이 반 정도로 줄어들면 불에서 내려서 식혀 줍니다.

3.식으면 밀폐 용기에 담아 저장해 놓았다가 씁니다.


데리야끼장 쓰임법

쇠고기스테이크찜 , 단호박 , 베이컨 볶음 , 냉동 참치구이 ,등

전통적인 밑반찬보다는 일품 반찬을 만들때 많이 쓰입니다.

일본식 조림간장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맵지 않고 달달해서 아이들이 참 좋아 합니다.



반찬만들때 기본중의 기본

간장 양념장



재료

기본재료1 : 간장 4큰술 , 물 2큰술 , 깨소금 2 큰술,

참기름 2큰술 ,  설탕 1큰술

기본재료2 : 고추가루 4큰술 , 식초 4큰술 ,

첨가재료 : 다진 파 1 큰술 , 다진 마늘 1/2 큰술 ,

다진 풋고추 약간 ,다진 붉은 고추 약간


만들기

1.기본재료 1이 기초양념 입니다.

여기에 요리의 종류에 따라 기본재료 2의 식초를 넣거나

매운맛을 내기 위해 고추가루를 넣거나 합니다.

2. 반찬을 만들때 더 들어가야 할 양념 재료들을 챙겨서

조리 방법에 맞게 썰거나 다져서 넣어 줍니다.


 간장 양념장 쓰임법

깻잎찜 , 꼬막찜 , 콩무침 ,상추겉절이 등 간장을 이용한

한식 밑반찬 만들때 가장 많이 쓰이는 양념장 입니다.



매콤달콤한 맛을 낼때는 

고추장양념장



재료

기본재료 : 고추장 4큰술 , 설탕 2큰술 , 깨소금 2큰술 , 참기름 1큰술

첨가재료 : 다진 파 2큰술 , 다진 마늘 1큰술 , 다진 생강 1/2 작은술.


만들기

1. 고추장에 설탕을 넣고 잘 어우러지게 섞어 줍니다.

2.  1에 깨소금 , 참기름 을 넣고 섞어 밀폐 용기에 담아 둡니다.

3.반찬을 만들 때 파 , 마늘 , 생강을 넣어 줍니다.


고추장양념장 쓰임법

오징어 불고기 , 더덕구이 , 가지꼬치구이, 생선 양념구이 ,

감자고추장소스구이 등 주로 고추장양념구이 요리에 많이 쓰입니다.

현기증이 곧 빈혈은 아니다

Posted by How are you doing
2015. 7. 16. 10:00 건강


현기증을 빈혈로 스스로 진단하지 말자.


현기증 자체를 빈혈기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스스로 진단 및 처방을 내린 뒤 약국에서 빈혈약인

철분제제를 받아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지럼은 곧 빈혈이라는 것을

공식화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기증빈혈의 한 증상이기는 해도 실제로 

현기증을 일으킨 사람이 빈혈이라고 할만한 질환에 걸리는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현기증을 호소하는 환자 가운데 빈혈로 직결되는

경우는 전체의 5 % 미만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어지럼증 이 있다고 무조건 철분제제를 사먹는것은

위험한 생각입니다.



현기증에는 먼저 주위나 자기가 움직이거나 빙빙 돈다는 

착각인 현훈이 있고, 둘째로 의식의 소실 또는 기절할 것 같은 실신,

셋째로 몸이 기울어지는 불균형이 있습니다.


우선 현훈의 경우 통계에 따르면 질환자 가운데

25% 정도가 현기증 환자로 판명 났습니다.

또한 현훈의 원인은 대부분 귀속의 전정 기관이나

 미로구조의 이상 때문 입니다.

이는 활동을 제한하기는 하기는 하지만 보통 저절로 치료가 됩니다.

다음으로 실신은 원인의 대부분이 일시적인 뇌혈류량의 감소 때문으로

현기증의 증상이라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세번째로 불균형은 노인의 경우 다발성 감각장애가 주 원인이고 

그 외에는 소뇌의 장애 , 청신경경종양 , 만성 알콜 중독자 또는 

신경안정제나 항우울제등의 약물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다반사 입니다.


일반인들의 현기증의 대표적인 질환이라고 생각하는 빈혈은

우리 몸에 산소를 공급하고 있는 적혈구 감소를 의미 합니다.

적혈구의 감소가 심하지 않을 때는 증상이 없고,

심하더라도 현기증 보다는 두통 , 호흡곤란 , 식욕김퇴 ,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 납니다.


어지럼증 , 불균형 ,실신 등의 현기증 증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쉽게 빈혈로 단정하고 빈혈약을 복용하는것은 금물 입니다.

현기증 환자는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합니다.



신경쇠약증 민간요법으로 잡는다

Posted by How are you doing
2015. 7. 15. 23:59 건강
신경 쇠약증 치료에 큰도움이 되는 민간요법


 신경쇠약증에 걸리면 머리가 아프고 현기증이 일어나며,

쉽게 피로를 느낍니다.

또한 모든 일에 불안 , 초조하고 매사에 싫증을 느끼는등 

사회생활이나 가정생활에서 열등의식을 갖게 됩니다.


신경쇠약 증세는 특히 15, 16 세 사춘기 부터 30세까지의 

젊은이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 중 증세가 가장 심한 시기는 20~25 세 까지입니다.


신경쇠약증의 원인은 정신적인 충격이나 갈등, 억압, 욕구 ,

불만 등 정신적인 데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육체적인 다른 질병이나 내장기 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한방에서는 신경쇠약증을 보통 심기증이라고 합니다.

즉 심장의 기능이 약한 사람, 기질적으로 소심하고 꼼꼼하며, 

작은 일에서도 늘 불안해 하는 사람, 신기(정력)가 

부족한 사람에게서 잘 생깁니다.

심장이 약해졌거나 신기부족인 사람은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이상 흥분된 신경을 조절해줄 수 있는 약을 쓰면서 체력 강화와 

정신 안정을 기해야 합니다.

특히 심장에 나쁜 영향을 끼쳐 뇌신경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식품인 돼지고기, 마가린, 달걀 등의 섭취는 가급적 피하면서 ,

민간요법으로 치료를 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대추 1.5 kg에 감초를 약간 섞고 4홉의 물을 부은 다음

2홉이 되도록 달여서 하루에 3번씩 식사하기 전에 장기간 

복용하면 효험이 있습니다.

율무쌀의 속에 포함된 흰쌀 180 kg 을 약한 불에 달여서 

이것을 하루에 3번씩  4~5일간 복용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오랑캐꽃의 뿌리를 캐어 그늘에 잘 말린 후 

이것을 가루로 만들어 한번에 5 kg 정도의 분량으로 5~6일간

하루 세 차레씩 공복에 복용해도 효과가 탁월합니다.



이밖에 산약 10 kg 을 잘게 썬 것과 깨끗이 씻은 쌀 반 홉

가량을 함께 섞어 죽을 쑤어서 한번에 먹도록 합니다.

이죽을 장기간 먹으면 자양, 강장, 건위의 효과와 함께

신경쇠약증은 물론 만성장염, 몽정, 야뇨증, 신경 쇠약증

치료에 큰 도움이 됩니다.